4me Eco Report

🌎 2025년 6월 넷째 주 환경 뉴스 10선

formeforyou96 2025. 6. 29. 20:18
반응형

1. COP30 준비 중 기후 위기 ‘전쟁 수준’ 도전

EN: Four months ahead of COP30 in Brazil, CEO Ana Toni warned that only 30 of 200 countries have updated their NDCs and global average temperatures already exceed 1.5 °C. Geopolitical distractions, fossil‑fuel lobbying, and insufficient climate finance may undermine effective national commitments.

KR: 브라질 COP30 개최를 앞둔 시점, Ana Toni CEO는 업데이트된 국가기여계획(NDC)이 200개 중 30여 개에 불과하며, 기온은 이미 1.5 °C를 넘어섰다고 경고했습니다. 지정학적 혼란, 화석연료 로비, 불충분한 기후 자금이 실효적 약속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기사 원문 보기: [The Guardian]





2. 런던 기후주간, ‘금융이 기후행동 열쇠’ 강조

EN: At London’s Finance Live, policymakers and financiers highlighted integrating ESG into investment decisions, mandatory climate risk reporting, and aligning private capital with net-zero pathways to support sustainable economies.

KR: 런던 기후주간의 ‘파이낸스 라이브’에서는 ESG 통합, 기후 리스크 공시 의무화, 민간 자본의 넷제로 전환 참여 확대가 지속 가능한 경제 구축의 핵심으로 강조되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Reuters]





3. 브라질 COP30 의장 “1.5℃ 목표 사실상 위태”

EN: André Corrêa do Lago, COP30 president-designate, warned that recent science indicates the 1.5 °C threshold may already be breached. With fewer than 30 nations submitting NDCs, oil exporter resistance and US withdrawal from climate finance deepen the crisis, though China did agree to boost UN climate funding by 10%.

KR: COP30 의장 후보인 André Corrêa do Lago는 과학적 근거에 근거해 1.5 °C 목표가 이미 위협받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업데이트된 NDC는 30개 미만이며, 석유 수출국 저항과 미국의 기후 자금 철회로 위기가 가중되고 있으나, 중국은 UN 기후예산을 10% 증액하기로 약속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Financial Times]





4. UNFCCC 예산 10% 증액 합의—글로벌 협력 신호

EN: Nearly 200 nations agreed to boost the UNFCCC core budget by 10% (€81.5M) for 2026–27. Bloomberg Philanthropies will cover the US share amidst its withdrawal. China increased its contribution to 20%, signaling deeper global climate commitment despite overall budget constraints.

KR: UNFCCC 예산이 2026~27년을 기준으로 10% 증액된 8,150만 유로로 합의되었습니다. 미국 몫은 Bloomberg Philanthropies가 대신 지원하며, 중국은 기여율을 20%로 확대해 국제 기후협력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Reuters]





5. 호주 COP31 유치, 터키 후보와 외교 전초전

EN: Australia, backed by the UK and New Zealand, is vying to host COP31 in Adelaide, though Turkey’s bid for Antalya remains unresolved. A final decision is expected at COP30; hosting could bolster Australia’s climate leadership but critics question its domestic fossil fuel policies.

KR: 호주는 영국, 뉴질랜드의 지지를 받으며 애들레이드에서 COP31 유치를 추진 중이지만, 터키의 안탈리아 유치 경쟁과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COP30에서 결정될 예정이며, 유치 성공 시 기후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지만, 국내 화석연료 정책에 대한 의문도 제기됩니다.

기사 원문 보기: [The Guardian]





6. 중국·멕시코 폭우 경고—기후 재해에 대비해야

EN: China’s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face flash flood risks due to early, record monsoon rains that threaten agriculture and infrastructure. Tropical Storm Erick soaked southern Mexico, causing flooding and landslides in Oaxaca—highlighting the need for improved disaster preparedness.

KR: 중국 중·남부는 기록적인 몬순 폭우로 홍수 위험이 높아 농업·인프라에 대한 위협이 커졌습니다. 멕시코 남부 오악사카에서는 허리케인급 폭우 에릭이 집중 호우와 산사태를 유발해 재난 대응 강화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Reuters]





7. UNOC3 성과—공해 보호 협약 비준 60개국 육박

EN: The UN Ocean Conference in Nice saw strong political support, with 55 nations ratifying the High Seas Treaty and aiming for 60 soon. Several countries backed a deep-sea mining moratorium, and French Polynesia established a 5 million km² marine protected area—marking momentum for ocean stewardship.

KR: 니스 UN 해양회의에서 ‘공해 고해양보호조약’ 비준국이 55개국에 달해 60국 달성과 조기 발효가 기대되며, 일부 국가는 심해 채굴 중단을 지지했습니다.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는 500만 km² 규모로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해 국제 해양보호 운동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The Guardian]





8. 美·EU·英 탄소 규제 완화 움직임에 경고음

EN: The U.S. and EU are considering easing climate regulations amidst economic pressures—U.S. EPA may rollback CO₂/mercury limits, the EU may relax ESG and methane rules, and the UK is reducing green levies to curb energy costs. Critics say such moves threaten climate goals and green transitions.

KR: 미국 EPA는 CO₂·수은 배출 규제를, EU는 ESG·메탄 관련 법규를 완화할 방침이며, 영국도 에너지 요금 부담 완화를 위해 친환경 부담금을 줄이고자 합니다. 그러나 이는 기후 목표 후퇴와 녹색 전환의 동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기사 원문 보기: [Reuters]





9. 기후 변화가 변화시킨 폭염·삼투현상

EN: A Nature study shows that rising evaporative demand—essentially the "atmospheric thirst"—has increased global drought severity by 40%. Meanwhile, ocean acidification levels, especially in coastal regions, have crossed key planetary thresholds, threatening marine ecosystems.

KR: Nature의 연구에 따르면, ‘대기 건조력’이 전세계 가뭄 심각도를 40% 악화시키며, 해안 지역 해양 산성화는 주요 지구 기준선을 넘어 심각한 생태계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 [Nature/Earth & Planetary Science cite via Reuters summary]





10. 사막화 방지의 날(6/17) 캠페인, ‘지속 가능한 토지복원’ 주제

EN: June 17 marked UN’s World Day to Combat Desertification and Drought. This year’s theme emphasized gender-responsive land restoration, reforestation, and rural empowerment, with local to international events aiming to boost resilience and sustainable practices in drought-prone communities.

KR: 6월 17일 UN 사막화 방지의 날을 맞아, 올해는 성 평등 기반의 토지 복원, 재조림, 농촌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춰 전 세계에서 관련 캠페인이 펼쳐졌습니다. 기후 취약 지역의 회복력 향상과 지속 가능한 땅 관리가 핵심 메시지입니다.

기사 원문 보기: [UNCCD summary via Wikipedia/Reuters]

반응형